주식투자/테마분석
구리 대장주와 관련주
노을향수
2025. 6. 12. 11:54
대장주는 특정 테마나 섹터에서 가장 영향력이 크고 시가총액, 거래량, 브랜드 인지도, 시장 점유율 등이 뛰어난 종목을 의미하지만 장기, 스윙, 단기 등 투자자들에 따라 기준이 다릅니다. 또한 시장의 상황에 따라 다른 주식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스스로를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시장의 상황에 따라 대장주는 바뀐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구리 대장주
이구산업
- 유형: 세력주 (구리 가공·유통, 국내 점유율 상위)
- 동, 황동, 인청동 등 다양한 구리 소재를 생산하는 비철금속 전문기업으로, 국내 구리 가공 시장의 20% 이상을 공급. 구리 가격 변동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며, 최근 구리 시세 급등 시 거래량과 주가가 가장 먼저 움직이는 대표 대장주.
- 최근 동향:
- 구리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에 따라 거래량·주가 급등, 단기 변동성 확대.
-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등 산업 수요 증가로 실적 개선 기대.
구리 관련주
풍산
- 유형: 수급세력주 (구리·신동제품, 글로벌 공급)
- 국내 최대 신동(구리·동합금) 소재 및 가공품 생산 기업. 구리 가격 상승 시 재고자산 평가이익과 제품 판매가격 반영 효과로 실적 개선.
- 최근 동향:
- 구리 가격 급등에 따라 신동사업 실적 호조, 미국 관세 이슈 등 정책 수혜 기대.
- 글로벌 경기 회복 및 신재생에너지 산업 성장에 따른 수요 증가.
대원전선
- 유형: 세력주 (전선·케이블, 구리 원재료)
- 각종 전선·케이블 제조, 구리를 핵심 원재료로 사용. 구리 가격 변동에 따라 실적 변동성 큼.
- 최근 동향:
- 구리 가격 급등 시 주가·거래량 동반 상승.
-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LS ELECTRIC
- 유형: 수급세력주 (전력기기·동관, 구리 수요 수혜)
- 전력기기·자동화시스템·동관 등 제조, 자회사 LS메탈이 동관 생산. 전력 인프라 확장과 신재생에너지 전환에 따른 구리 수요 증가의 직접적 수혜주.
- 최근 동향:
- 구리 가격 상승에 따른 전력 설비 매출 성장.
- 스마트그리드·전력 인프라 사업 확장.
LS
- 유형: 수급세력주 (구리 제련·전선, 국내 최대)
- LS니꼬동제련(지분 50.1%)을 자회사로 두고 국내 구리 제련 시장을 사실상 독점. 구리로 만든 전기동을 바탕으로 전선, 케이블, 산업용 소재까지 수직계열화된 사업구조 보유.
- 최근 동향:
- 구리 가격 상승에 따른 영업이익 개선, 전력·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산업 수요 수혜.
- 구리 가격 변동에 따른 실적 민감도 높음, 시장 대비 높은 거래량 기록.
서원
- 유형: 세력주 (비철금속·동합금, 구리 소재)
- 동합금·비철금속 소재 생산, 구리 가격 변동에 민감.
- 최근 동향:
- 구리 가격 급등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 산업용 소재 수요 증가.
고려아연
- 유형: 수급세력주 (비철금속 제련, 구리·아연 등 생산)
- 아연·구리 등 비철금속 제련, 국내외 공급.
- 최근 동향:
-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른 실적 개선.
- 구리·아연 등 희소금속 생산 확대.
이엔플러스
- 유형: 세력주 (구리 소재·부품, 신사업 진출)
- 동·동합금 소재 및 부품 제조, 구리 가격 상승 수혜.
- 최근 동향:
- 구리 소재 사업 매출 성장.
- 신사업 진출 및 포트폴리오 다각화.
대창
- 유형: 세력주 (동합금·비철금속, 구리 가공)
- 동합금·비철금속 소재 제조, 구리 가격 변동에 실적 민감.
- 최근 동향:
- 구리 가격 상승에 따른 매출 증가.
- 산업용 소재 수요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