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SLIM은 윌리엄 오닐(William O’Neil)이 개발한 성장주 투자 전략으로, 7가지 핵심 요소를 분석하여 강한 종목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성장주 투자 전략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위 투자 전략은 기업의 실적, 시장의 흐름, 기관 투자자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각 글자는 주식 선정 기준을 의미한다.
- C (Current Earnings) – 최근 분기 순이익이 급격히 증가한 기업
- A (Annual Earnings Growth) – 연간 이익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업
- N (New Product, Service, or Management) – 혁신적인 제품, 서비스, 경영 변화가 있는 기업
- S (Supply and Demand) – 유통 주식 수가 적으면서 수요가 높은 기업
- L (Leader or Laggard) – 업계에서 선두를 달리는 강한 주식
- I (Institutional Sponsorship) –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는 주식
- M (Market Direction) – 전체 시장의 흐름이 상승장인지 확인
1. C (Current Quarterly Earnings, 현재의 주당 분기 순이익)
기업의 주당 순이익(EPS) 이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EPS 성장률 : 최소 18~20% 증가해야 하며, 40~100% 또는 그 이상이면 더욱 좋습니다.
- 매출 증가율 : 매출 증가율도 최소 25% 이상이어야 하며,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이익 증가 가속도 : 최근 분기 이익 증가율이 이전보다 더 빠르게 상승해야 합니다.
- 일회성 특별이익 제거 : 일시적인 요인으로 인해 증가한 순이익은 분석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 순이익 감소 경고 : 2분기 연속 순이익이 감소하면 위험 신호이며, 상승세가 둔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로그 차트 활용 : 주간 로그 차트를 활용하면 이익 증가율이 가속화되는지 둔화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업종 비교 : 같은 업종의 다른 주식들과 비교하여 업계 평균보다 우수한지 판단해야 합니다.
2. A (Annual Earnings Growth, 연간 순이익 증가율)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최근 3년간 EPS 성장률 : 매년 25% 이상 증가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50% 이상이면 더욱 좋습니다.
- 자기자본이익률(ROE) : 최소 17%, 가능하면 25~50%가 이상적입니다.
- 세전 순이익 마진율 : ROE가 낮다면 세전 순이익 마진율이 높아야 합니다.
- 안정적인 성장 : 3년 이상 꾸준히 상승하는 EPS를 기록한 기업이 좋습니다.
- 주가 사이클 분석 : 강세장 초기에는 성장주가 신고가를 경신하며 시장을 주도합니다.
- 약세장 경고 신호 : 최근 몇 년간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한 기업이 갑자기 성장률이 둔화된다면 주의해야 합니다.
3. N (New Product, Service, Management, or Highs, 신제품, 신경영, 신고가)
새로운 성장 동력이 있는 기업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큽니다.
- 혁신적인 신제품/서비스: 기업이 산업을 변화시킬 만큼 혁신적인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예: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 OS (1993~1999년, 1,800% 상승)
- 경영 혁신 : 리더십 변화나 구조 개선이 실적 향상으로 이어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주가 패턴 분석 : 7~8주 또는 길게는 15개월 동안 바닥을 다지고 상승하는 종목을 찾습니다.
- 신고가 매수 전략 : 신고가 돌파 시점에서 매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S (Supply and Demand, 수요와 공급)
주가 상승의 핵심 요소는 강력한 수요와 제한된 공급입니다.
- 거래량 증가 : 주가 상승 시 거래량이 함께 증가하는 것이 긍정적 신호입니다.
- 주식 분할 영향 : 너무 잦은 주식 분할은 주식 공급량을 급증시켜 상승 모멘텀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 자사주 매입 :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하면 주식 공급이 줄어들어 주가 상승 가능성이 커집니다.
- 부채 비율 관리 : 낮은 부채 비율을 유지하는 기업이 재무적으로 더 안정적입니다.
5. L (Leader or Laggard, 주도주인가 소외주인가)
강세장에서 시장을 주도하는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업종 내 1위 기업 매수 : 경쟁사 대비 실적과 주가 상승률이 가장 좋은 기업을 선택합니다.
- 상대적 강도(RS) 점수 : 80~90점 이상인 주식이 이상적입니다. (RS 99점 = 상위 1%)
- 약세장에서도 강한 주식 찾기 : 시장이 하락할 때도 상승하는 주식을 주목합니다.
- 8% 손절매 원칙 : 매수 후 주가가 8% 이상 하락하면 손절해야 합니다.
6. I (Institutional Sponsorship, 기관의 뒷받침)
기관투자가의 관심을 받는 종목이 더 안정적으로 성장합니다.
- 기관 보유 증가 확인 : 최근 분기에 기관투자가가 신규 매수한 종목이 좋은 투자 대상입니다.
- 기관의 질 분석 : 상위 5%의 성과를 낸 기관이 보유한 주식인지 확인합니다.
- 과도한 기관 보유 주의 : 기관 보유율이 너무 높으면 매물 압박이 커질 위험이 있습니다.
7. M (Market Direction, 시장의 방향성)
시장의 전체 흐름을 분석하여 적절한 타이밍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거래량 변화 분석 : 상승장에서 거래량이 늘어나야 강세 신호입니다.
- 천정 신호 확인 : 주가가 오르는데 거래량이 감소하면 하락 조짐일 수 있습니다.
- 반등 시도 분석 : 첫 반등이 실패하면 매도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약세장 징후 : 저가주가 급등하고 우량주가 하락하기 시작하면 시장이 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큽니다.
마무리하며
CAN SLIM 전략은 기업의 실적과 시장 흐름을 분석하여 최고의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방법입니다. 단순한 차트 분석이 아니라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혁신성, 기관투자가의 관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주식투자 > 스터디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앤드류 아지즈의 데이트레이딩 성공 비법: 도박꾼이 아니라 트레이더가 되어라 (1) | 2025.03.13 |
---|---|
차트 너머의 핵심을 이해하라 (3) | 2025.03.12 |
공포 지수(Fear Index)인 VIX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0) | 2025.03.10 |
사께다 5법 완벽 분석(삼산, 삼천, 삼공, 삼병, 삼법) 적삼병과 흑삼병 집중 분석 (0) | 2025.03.10 |
그랜빌 매매 8원칙: 주식 투자 성공을 위한 필수 가이드 (1)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