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9~1933년 대공황 시기, 미국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평균 60%에 달하는 높은 관세를 부과한 바 있습니다. 이는 대표적으로 1930년 제정된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을 통해 시행되었으며, 당시 글로벌 무역을 위축시키고 경제 회복을 더디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이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현재 미국의 관세 정책을 비교 분석하며 다가올 미국 경제에 대한 대비와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1. 대공황의 배경
대공황은 1929년부터 1933년 사이에 발생한 대규모 경제 침체로, 미국 및 전 세계에 파급 효과를 미쳤습니다.
- 주식시장 폭락 (1929년):
- '검은 목요일'로 알려진 1929년 10월 24일,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여 경제 불안정을 가중시켰습니다.
- 이로 인해 대규모 자산 감소와 신뢰 붕괴가 발생했습니다.
- 은행 도산:
- 신용 경색과 대규모 은행 파산이 빈번하게 나타났습니다.
- 연방준비제도의 잘못된 통화 정책으로 통화량이 감소하면서 경기 침체가 심화되었습니다.
- 금본위제의 문제점:
- 19세기 말부터 운영되었던 금본위제는 국제 결제 시스템의 중심이었지만, 1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경제적 지위 약화와 미국의 역할 부족으로 혼란이 발생했습니다.
2.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그 영향
-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
-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미국이 평균 60%의 높은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 약 2만 종 이상의 제품에 적용된 이 관세법은 국제 무역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쳤습니다.
- 국제 보복:
- 다른 국가들이 보복 관세를 부과하며 국제 교역량이 급감했습니다.
- 1939년 기준, 전 세계 무역량이 1/3로 감소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 경제적 블록화:
- 국가 간 무역 장벽이 강화되며 지역 경제 블록이 형성되었습니다.
- 예: 영국은 자국과 식민지 국가들로 이루어진 스털링 블록을 형성하여 무역을 제한했습니다.
3. 대공황 이후 국제 협력
대공황의 교훈을 바탕으로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경제 협력 체제가 구축되었습니다.
- IMF와 세계은행 설립:
- 국제 통화 안정과 경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창설.
- 자유무역 협정:
- 보호무역 장벽 제거를 목표로 한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가 시작되었고, 나중에 WTO로 발전했습니다.
4. 현재 미국 정책과의 비교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스무트-홀리 관세법과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 현대적 관세 정책의 우려:
- 관세율 증가가 국제 경제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
- 과거 관세 전쟁의 사례가 반복될 가능성이 있음.
- 경제 정책의 교훈:
- 대공황은 잘못된 경제 이론과 국제 협력의 부족이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결론
- 정책 결정자들의 경제 이론의 정확성이 경제 안정에 매우 중요합니다.
- 국가 간 협력의 부재는 경제와 국제 관계에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앞으로 어떻게 전개가 될지 알 수는 없지만 모르고 당하는 것보다 알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시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의 안전장치: 사이드카(Sidecar)와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란? (1) | 2025.04.07 |
---|---|
외국계 증권사별 매매 유형 분석: 투자 전략과 패턴 (5) | 2025.04.07 |
미 관세 폭풍. VIX를 이용한 투자 전략 (1) | 2025.04.06 |
주식투자를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것. "인베스터(Investor)"와 "트레이더(Trader)"의 차이 (3) | 2025.04.05 |
당기순이익과 지배주주 순이익의 차이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