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운드피겨"와 "호가단위"는 투자자들이 시장을 이해하고 거래를 할 때 꼭 필요한 중요한 개념입니다. 아래에서 두 개념을 자세히 정리하고 실전 팁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시간이 없으신 분이나 잘 아시는 분은 마지막 실전 팁만 체크하세요.
1. 라운드피겨 (Round Figure)
정의
- 라운드피겨는 주식 가격에서 "둥근 숫자"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000원, 50,000원, 100,000원 같은 숫자가 이에 해당합니다.
- 이는 주로 투자자들의 심리적 기준점으로 작용하며, 시장에서 지지선(Support)이나 저항선(Resistance)으로 자주 언급됩니다.
특징
- 심리적 요인: 사람들이 둥근 숫자를 기준으로 매매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9,800원에서 10,000원으로 오를 때 매수 주문이 몰리거나, 반대로 10,000원에서 매도하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술적 분석에서의 활용: 차트에서 라운드피겨는 중요한 가격대 역할을 하며, 트레이더들이 이 수준을 기준으로 매매 전략을 세웁니다.
- 예시: 삼성전자 주가가 80,000원 근처에서 저항을 받거나, 50,000원에서 지지를 받는 경우.
실제 적용
- 라운드피겨는 주식뿐만 아니라 외환, 암호화폐 등 다양한 금융 시장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 예: 비트코인이 $50,000 근처에서 강한 저항을 받는 경우.
2. 호가단위 (Tick Size)
정의
- 호가단위는 주식 거래에서 가격이 움직일 수 있는 최소 단위를 뜻합니다. 주식 시장마다 규정에 따라 다르며, 한국 주식 시장(KRX)에서는 주가 수준에 따라 호가단위가 달라집니다.
- 이는 매수와 매도 주문을 넣을 때 적용되는 기준으로, 시장의 유동성과 변동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한국 주식 시장의 호가단위 (2025년 3월 기준, KRX 규정 기준)
한국 거래소(KRX)에서는 주가 구간별로 호가단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구간별 호가단위입니다:
- 2,000원 미만: 1원
- 2,000원 이상 ~ 5,000원 미만: 5원
- 5,000원 이상 ~ 20,000원 미만: 10원
- 20,000원 이상 ~ 50,000원 미만: 50원
- 50,000원 이상 ~ 200,000원 미만: 100원
- 200,000원 이상 ~ 500,000원 미만: 500원
- 500,000원 이상: 1,000원
예시
- 주가가 4,500원인 경우: 호가단위는 5원이므로, 가능한 매매 가격은 4,500원, 4,505원, 4,510원 등.
- 주가가 75,000원인 경우: 호가단위는 100원이므로, 가능한 매매 가격은 75,000원, 75,100원, 75,200원 등.
특징
- 주가 수준에 따른 차등 적용: 주가가 높을수록 호가단위가 커져 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줄이고 거래 효율성을 높입니다.
- 시장 유동성 조절: 호가단위가 작을수록(예: 1원) 더 세밀한 가격 조정이 가능하지만, 너무 촘촘하면 시장이 혼잡해질 수 있습니다.
- 장외 시장과의 차이: 코스피/코스닥과 달리 장외 시장(OTC)에서는 호가단위가 더 유연할 수 있습니다.
실제 적용
- 투자자가 10,000원짜리 주식을 매수하려고 할 때, 호가단위가 10원이므로 10,010원, 10,020원 같은 식으로 주문을 넣어야 합니다.
- 데이 트레이딩이나 스캘핑 같은 단기 매매에서는 호가단위가 수익과 손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라운드피겨와 호가단위의 관계
- 라운드피겨는 투자자들의 심리적 기준점이라면, 호가단위는 실제 거래가 가능한 가격 단위를 규정합니다.
- 예를 들어, 주가가 49,900원일 때 다음 라운드피겨인 50,000원까지는 호가단위(100원)에 따라 49,900원 → 50,000원으로 바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50,000원이 심리적 저항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전 팁
라운드 피겨의 우선순위를 매긴다면 아래와 같지만...
자세한 설명보다 아래 표에서 호가단위당 수익률을 보시면 직관적으로 이해하실 듯...
- 1순위: 2,000원 20,000원, 200,000원의 호가단위가 바뀌는 구간 (1호가에 0.05% -> 0.25%로 상승하는 구간)
- 2순위: 5,000원 50,000원, 500,000원의 호가단위가 바뀌는 구간 (1호가에 0.10% -> 0.20%로 상승하는 구간)
- 3순위: 끝자리가 0이고 호가창에 물량이 많은 자리
- 200,000원과 500,000원 자리는 당일 주도주가 아니라면 주식 가격이 높아 단타시 시황에 따라 달라짐.
'시사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N(Exchange Traded Note)과 ETF(Exchange Traded Fund)란? 의미와 차이점 분석 (0) | 2025.03.29 |
---|---|
삼성그룹과 동아일보, 중앙일보의 관계에 대한 심층 분석 (0) | 2025.03.28 |
2025년 감사시즌 상장폐지 리스크. 감사보고서 미제출 현황. (0) | 2025.03.27 |
HLB 주가 하락 : FDA의 CRL, BIMO, CMC 용어 설명 (0) | 2025.03.24 |
주가 변동과 거시경제지표의 관계: 경기, 금리, 환율이 미치는 영향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