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당수익률 (Dividend Yield)
- 정의: 투자자가 주가 대비 얼마를 배당금으로 받는지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
- 공식: (주당 배당금 ÷ 주가) × 100
- 특징: 일반적으로 3~5% 수준이 안정적인 배당주로 평가되며, 너무 높을 경우 일시적 현상이나 위험 신호일 수 있음
2. 배당성향 (Dividend Payout Ratio)
- 정의: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 중 얼마를 배당금으로 지급했는지 비율로 나타내는 지표
- 공식: (배당금 총액 ÷ 순이익) × 100
- 특징: 30~60%가 적정 수준으로 평가되며, 너무 높으면 미래 투자 여력이 부족할 수 있고, 너무 낮으면 주주환원에 소극적일 수 있음. 최근 3~5년 평균을 보는 것이 중요
3. 배당 성장률 (Dividend Growth Rate)
- 정의: 일정 기간 동안 배당금이 얼마나 증가했는지 나타내는 비율
- 특징: 꾸준한 배당 성장률은 인플레이션 방어와 복리 효과에 유리하며, 장기 투자에 적합한 기업의 신호
4. 배당 지속성 및 히스토리
- 정의: 기업이 얼마나 오랜 기간 배당을 지급했는지, 그리고 그 배당금이 꾸준히 증가했는지 확인
- 특징: 5년, 10년, 20년 등 연속 배당 및 배당 증가 기업(‘배당 귀족주’, ‘배당왕’)은 재무적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음
5. 총수익률 (Total Return)
- 정의: 주가 상승(시세차익)과 배당금을 모두 합친 전체 투자 성과
- 특징: 배당주는 배당금뿐 아니라 주가 변동까지 합산한 총수익률로 평가해야 실질적인 투자 성과를 알 수 있음
6. 주가수익비율 (PER), 주가순자산비율 (PBR) 등 가치평가 지표
- PER(주가수익비율): 주가가 기업의 순이익에 비해 고평가/저평가됐는지 판단
- PBR(주가순자산비율):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에 비해 고평가/저평가됐는지 판단
- 특징: 배당주라도 기업의 밸류에이션이 적정한지 반드시 함께 확인
7. 요약표
지표명 | 공식/의미 | 주요 체크포인트 |
---|---|---|
배당수익률 | (주당배당금 ÷ 주가) × 100 | 3~5% 적정, 너무 높으면 위험 신호 가능 |
배당성향 | (배당금 총액 ÷ 순이익) × 100 | 30~60% 적정, 3~5년 평균 확인 |
배당 성장률 | 일정기간 배당금 증가율 | 꾸준한 증가 여부, 인플레이션 방어 |
배당 지속성/히스토리 | 연속 배당/배당 증가 연수 | 5년, 10년 이상 연속 지급 여부 |
총수익률 | 주가상승+배당금 포함 전체 수익 | 배당+시세차익 합산 |
PER, PBR 등 가치지표 | 주가 대비 순이익, 순자산 등 | 밸류에이션 적정성 확인 |
'주식투자 > 스터디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일드 채권과 하이일드 스프레드. 간단 요약과 상세 설명 (5) | 2025.05.20 |
---|---|
신재생에너지와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관계 (1) | 2025.05.20 |
의무보유등록 해제 종목을 확인하는 방법 (0) | 2025.05.04 |
나스닥 폭락이 올까? 역대 나스닥 대폭락의 역사를 알아보자. (1) | 2025.03.21 |
급등주의 흐름을 읽는 주식 격언과 투자 전략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