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주는 특정 테마나 섹터에서 가장 영향력이 크고 시가총액, 거래량, 브랜드 인지도, 시장 점유율 등이 뛰어난 종목을 의미하지만 장기, 스윙, 단기 등 투자자들에 따라 기준이 다릅니다. 또한 시장의 상황에 따라 다른 주식들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스스로를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시장의 상황에 따라 대장주는 바뀐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업비트 대장주
카카오
- 유형: 수급주 (두나무 최대 주주, 업비트 직접적 지분 보유)
- 카카오는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의 최대 주주로, 두나무 지분 10.61%를 보유. 국내외 가상자산 시장에서 업비트의 성장과 직접적으로 연동되는 대표 대장주로 평가됨.
- 최근 동향:
- 업비트 실적 및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에 따라 주가 민감하게 반응.
- 두나무의 나스닥 상장 기대감,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 성장 수혜.
업비트 관련주
우리기술투자
- 유형: 수급세력주 (두나무 주요 주주, 벤처캐피털)
- 두나무 지분 약 7.6% 보유. 벤처캐피털로서 블록체인·핀테크 스타트업 투자 확대, 업비트 성장의 직접적 수혜주.
- 최근 동향:
- 업비트 거래대금 및 암호화폐 시장 호황 시 주가 급등.
- 블록체인·핀테크 투자 포트폴리오 확장.
한화투자증권
- 유형: 수급세력주 (두나무 주요 주주, 금융투자)
- 두나무 지분 약 6.15% 보유. 핀테크 성장세 대응 및 장기 투자 목적으로 업비트 성장과 연동.
- 최근 동향:
- 업비트 실적 및 암호화폐 시장 이슈에 따라 주가 변동.
- 두나무의 기업가치 상승 시 수혜주로 부각.
TS인베스트먼트
- 유형: 세력주 (두나무 지분 간접 보유, 벤처캐피털)
- 벤처캐피털로 운용 펀드를 통해 두나무 지분 일부 보유. 업비트 테마주로 단기 급등락 반복.
- 최근 동향:
- 업비트·비트코인 이슈 시 테마주로 강한 주가 변동.
- 중소기업·스타트업 투자 확대.
DSC인베스트먼트
- 유형: 세력주 (두나무 지분 간접 보유, 창업투자)
- 운용 펀드를 통해 두나무 지분 일부 보유. 업비트·블록체인 시장 성장 수혜주.
- 최근 동향:
- 업비트·가상자산 시장 이슈 시 단기 급등락.
- 창업투자·핀테크 포트폴리오 확대.
에이티넘인베스트
- 유형: 세력주 (두나무 지분 간접 보유, 벤처캐피털)
- 벤처캐피털로 두나무 지분 일부 보유, 업비트 성장에 따른 수혜.
- 최근 동향:
- 업비트·비트코인 시장 이슈 시 테마주로 부각.
- 스타트업 투자 확대.
대성창투
- 유형: 세력주 (두나무 지분 간접 보유, 창업투자)
- 두나무에 투자한 벤처캐피털로 업비트 테마주로 분류.
- 최근 동향:
- 업비트·가상자산 시장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
- 창업투자 포트폴리오 다각화.
코오롱 / 코오롱인더
- 유형: 세력주 (코오롱인베스트먼트 통한 두나무 지분 보유)
- 코오롱인베스트먼트가 두나무 지분 일부 보유, 코오롱 및 코오롱인더스트리도 관련주로 분류.
- 최근 동향:
- 업비트·가상자산 시장 이슈 시 테마주로 단기 급등락.
- 자회사·손자회사 투자 확대.
신성이엔지
- 유형: 세력주 (우리기술투자 지분 보유)
- 우리기술투자(두나무 지분 보유)의 지분 9% 보유, 업비트 간접 수혜주.
- 최근 동향:
- 업비트·가상자산 시장 이슈 시 테마주로 부각.
- 클린룸·신재생에너지 사업 성장.
바른손
- 유형: 세력주 (케이큐브1호 펀드 통한 두나무 지분 간접 보유)
- 케이큐브1호 벤처투자조합 지분 2.6% 보유, 해당 펀드가 두나무 지분 11.1% 보유.
- 최근 동향:
- 업비트·가상자산 시장 이슈 시 단기 급등락.
- 미디어·콘텐츠 사업 확대.
'주식투자 > 테마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로모픽 대장주와 관련주 (1) | 2025.06.19 |
---|---|
베드뱅크(부실자산은행) 대장주와 관련주 (3) | 2025.06.16 |
'국가 AI컴퓨팅 센터' 대장주와 관련주 (6) | 2025.06.14 |
스테이블코인 대장주와 관련주 (2) | 2025.06.13 |
곡물 대장주와 관련주 (3)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