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공매도 거래제한 종목
·
시사/경제
2025년 3월 31일 공매도 전면 재개하여 공매도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3일 공매도 과열로 인한 공매도 거래제한 종목을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4202년 4월 2일 거래량 대비하여 공매도 매매비중이 높은 상위 50개 종목입니다. 코스피 상장사 5개 종목 코스닥 상장사 17개 종목 과열종목 지정 기준: 3월, 4월, 5월 변화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기준은 3월부터 5월까지 단계적으로 변화하며 시장 안정화와 공매도 규제 완화를 동시에 추구했습니다.3월 기준 (2025년 3월 31일)코스피:공매도 거래대금 증가: 전일 대비 2배 이상.주가 하락률: 3% 이상.공매도 거래대금 비중: 30% 이상.코스닥:공매도 거래대금 증가: 전일 대비 5배 이상.주가 하락률: 3% 이상.공매도 거래대금 비중..
롯데글로벌로지스 IPO, 사모펀드와 풋옵션 부담의 실체와 전망
·
시사/경제
롯데글로벌로지스의 IPO(기업공개)가 2025년 상반기 물류업계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IPO는 단순히 자금 조달을 넘어서, 사모펀드 투자자와의 계약 이행 및 그룹 차원의 재무적 부담 해소를 위한 중요한 과제입니다. 현대택배 인수부터 시작된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성장 과정과 IPO를 둘러싼 주요 쟁점, 그리고 전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롯데글로벌로지스와 현대택배롯데글로벌로지스는 2014년 롯데그룹이 현대택배(현대로지스틱스)를 인수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2019년 롯데로지스틱스를 합병하며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국내 택배 시장에서 CJ대한통운, 한진과 함께 주요 물류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시장 점유율과 수익성에서는 경쟁사 대비 열세에 놓여 있습니다.사..
미국, 한국산 제품에 25% 상호관세 부과
·
시사/경제
https://x.com/WhiteHouse/status/1907533090559324204 X의 The White House님(@WhiteHouse)LIBERATION DAY RECIPROCAL TARIFFS 🇺🇸x.com미국 정부가 4월 2일 발표한 새로운 관세 정책에 따르면, 한국에서 생산되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됩니다. 이 정책은 5일부터 시행되는 기본관세와 9일부터 적용되는 국가별 상호관세로 나뉘며, 한국 외에도 중국(34%), 일본(24%), EU(20%) 등 주요 무역 상대국들이 대상입니다. 한국은 지난해 대미 수출액 1278억 달러, 무역수지 557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자동차, 반도체, 배터리 등이 주요 품목이었는데, 이번 관세로 수출 중심 경제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3조 6천억 유상증자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시사/경제
한화그룹의 승계 작업 시나리오를 분석하기 위해, 비상장 계열사인 한화에너지와 상장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 조달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한화그룹의 3세 승계는 김승연 회장의 세 아들(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며, 한화에너지가 승계의 핵심 역할을 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자금 동원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1. 한화 승계 작업의 핵심: 한화에너지한화에너지는 김동관 부회장(50%), 김동원 사장(25%), 김동선 부사장(25%)이 지분 100%를 보유한 비상장 회사로, 그룹 지배구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현재 한화에너지는 지주사 격인 ㈜한화의 지분 약 22.16%를 보유하며, 삼형제의 직접..
공매도 재개 후 과열종목 43종목 지정. 공매도 금지.
·
시사/경제
2025년 3월 31일 공매도 전면 재개하여 공매도가 쏟아져서 지수는 크게 하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가 과열종목으로 43종목을 지정하였습니다. 이후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에 대한 기준을  자세하게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아래 표는 공매도 거래량 대비 공매도 매매비중이 높은 상위 50개 종목입니다.1. 공매도 재개 첫날, 과열종목 43종목 지정2025년 3월 31일, 한국거래소는 공매도 전면 재개 첫날 코스피 14개, 코스닥 29개 등 총 43개 종목을 과열종목으로 지정했습니다. 이 종목들은 4월 1일 하루 동안 공매도 거래가 금지되었습니다.코스피 상장사 14개 종목코스닥 상장사 29개 종목2. 과열종목 지정 기준: 3월, 4월, 5월 변화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기준은 3월부터 5월까지 단계적으로 ..
탄핵심판 선고일 결정. 조기 대선 국면의 민주당 주요 정책 관련주
·
시사/경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일이 결정됨에 따라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의 정책 관련 주식 종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민주당은 진보적 성향을 바탕으로 기본소득, 저출산 문제 해결,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 및 벤처 지원, 공공주택 확대, 신재생에너지, 남북경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해 왔습니다. 이에 따라 조기 대선에서 민주당이 정권을 잡을 경우 수혜가 예상되는 종목들을 사용자가 제공한 목록을 기반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기본소득(지역화폐) 관련주정책 배경: 민주당은 기본소득 도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화폐 확대를 주장해 왔습니다.관련 종목:코나아이: 지역화폐 플랫폼 및 전자결제 솔루션 제공.웹케시: 기업향 금융 및 결제 ..
폭락장에서 베타(β)를 활용한 성공 투자 방법.
·
시사/경제
폭락장에서는 지수 ETF를 분할 매수하거나 종목을 선별할 때 같은 조건이라면 베타(β)가 높은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 알파(α), 베타(β), 감마(γ)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번 폭락장에 베타를 활용하여 성공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VIX를 이용한 투자 전략이 궁금하시면 아래 클릭.2025.04.06 - [시사/경제] - 미 관세 폭풍. VIX를 이용한 투자 전략 미 관세 폭풍. VIX를 이용한 투자 전략2025년 4월 6일 현재 VIX(Volatility Index)가 45.31로 40을 넘었습니다. 40이 넘으면 투자의 기회가 온다. VIX가 40을 초과했던 주요 사례, S&P 500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투자 타이밍을 판단해 보고자 한다. VIXskytissue.tistory.com 1. 알파 ..
종속회사와 관계사의 의미를 알아보자.
·
시사/경제
종속회사와 관계사는 기업 간의 지배 구조와 지분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로, 주로 회계와 경영에서 사용됩니다. 이 둘의 차이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1. 종속회사 (Subsidiary)정의: 종속회사는 모회사(지배기업)가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업을 의미합니다. 즉, 모회사가 종속회사의 의사결정권을 실질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관계입니다.지분 비율: 일반적으로 모회사가 종속회사의 의결권 있는 주식의 50% 초과(과반수)를 소유하면 종속회사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50% 미만이라도 실질적 지배력이 있으면 종속회사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예: 이사회 구성원의 과반수를 임명할 권한 등).특징:모회사는 종속회사의 재무제표를 연결재무제표로 통합하여 작성합니다. 즉, 종속회사의 자산, 부채, 수..
연결재무제표와 개별재무제표, 쉽게 이해하고 분석하는 법(초보만)
·
시사/경제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회사의 돈 이야기를 정리한 재무제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특히 연결재무제표와 개별재무제표라는 두 가지가 있는데, 이게 도대체 뭔지, 어떻게 다르고, 분석할 때 뭐가 중요한지 쉽게 풀어볼게요.1. 개별재무제표: "나 혼자만의 돈 계산"이게 뭔가요?개별재무제표는 한 회사(예: 나 혼자)가 자기 돈을 어떻게 벌고 썼는지 정리한 장부예요. 다른 회사와 얽힌 이야기는 빼고, "나만의 돈 상황"을 보여주는 거죠.비유: 내가 한 달 용돈 2만 원 받아서 밥값 1만 원 쓰고 1만 원 남겼다고 써놓은 노트예요. 친구한테 돈을 빌려줬거나 받은 건 안 적어요.예시로 이해하기A라는 회사가 물건을 팔아서 1,000만 원 벌고, 직원 월급으로 400만 원 썼어요.개별재무제표:수입: 1,000만..
ETN(Exchange Traded Note)과 ETF(Exchange Traded Fund)란? 의미와 차이점 분석
·
시사/경제
1. ETN (Exchange Traded Note)란?ETN은 "상장지수채권" 또는 "상장지수어음"이라고 불리며, 금융기관(발행사)이 발행하는 채권의 일종입니다. ETN은 특정 지수(예: 주식 지수, 원자재 가격, 통화 등)의 성과를 추종하도록 설계된 파생상품으로,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거래됩니다.채권 성격: ETN은 발행사(예: 은행, 증권사)의 신용에 기반을 둔 무담보 채무증권입니다. 즉, 투자자는 발행사의 상환 능력에 의존합니다.지수 추종: 특정 지수(예: KOSPI 200, 금 가격 등)의 수익률을 그대로 반영합니다.만기 존재: ETN은 일반적으로 만기가 있으며, 만기 시 발행사가 약속한 수익률(지수 연동)을 지급합니다.운용 비용: ETF와 달리 펀드 운용 과정이 없으므로 관리 수수료가 상대적으로..